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특집 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<br><br>국민의힘이 대통령 퇴진 방식과 시점을 두고 대혼돈에 접어들었습니다.<br><br>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내년 2월 내지 3월에 대통령이 조기 퇴진하고, 4~5월에 대선을 치르자는 안을 내놨습니다.<br><br>탄핵보다 빠르게 대통령의 임기를 종료시켜서 불확실성을 해소하자는 승부수를 던진 겁니다.<br><br>저희 단독 취재 내용인데요.<br><br>한 대표는 지금 비공개 의총 자리에서 "대통령이 옥중 집행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, 국민들 반발은 더 커질 것"이라며 "2~3개월보다 퇴진 시점이 늦어질 경우 국민은 미동도 하지 않을 것"이라고 의원들을 설득하고 있는 중입니다.<br><br>당내 반발도 만만치 않은 상황, 국회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.<br><br>조민기 기자, 퇴진 로드맵에 대한 국민의힘의 입장은 아직 결정은 안 된 거죠?<br><br>[기자]<br>제 뒤로 보이는 국회 예결위 회의장에서 국민의힘 의원들, 마라톤 의원총회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> <br>본회의 끝나고 1시간 반째 이어지고 있는데요. <br> <br>한동훈 대표, 의원총회 시작할 때 윤 대통령 퇴진 로드맵 수용해달라 설득했는데요. <br> <br>"윤 대통령이 2,3개월보다 길게 버티면 국민 여러분들이 미동이라도 하겠느냐"고 말한 것으로 전해집니다. <br> <br>한 대표는 "대통령 수사 속도가 대단히 빨라지는 상황에서 절박한 시도를 할 수 있는 시간도 많지 않다, 더 미룰 시간이 없다"고 했고요. <br> <br>윤 대통령이 수감된 상황도 상정했는데요. <br> <br>한 대표는 "입에 꺼내기도 싫지만 수감된 상태에서 옥중 집무 집행, 법적으로는 가능하지만 국민들의 반발은 커질것"이라고도 언급한 것으로 전해집니다. <br> <br>결국 "탄핵을 피하기 위해선 국민 수용 가능성이 핵심"이라면서 퇴진 로드맵을 수용해달라고 설득한 겁니다. <br> <br>조기 퇴진 로드맵, '내년 2월 또는 3월에 대통령이 자진 하야 방식으로 퇴진하고, 내년 4월 또는 5월에 대선을 치르는 두가지 안이죠. <br> <br>윤 대통령 탄핵안이 통과되면 헌법재판소 결정까지 최대 6개월이 걸릴 수 있으니, 이보다 더 빠르게 대통령 임기를 종료시키겠다는 겁니다.<br> <br>이양수 위원장은 "탄핵보다 명확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"며 "국민들도 이를 더 올바른 선택이라 생각할 것"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개헌 논의를 퇴진 로드맵에 담지는 않았지만 앞으로 민주당 측과 협의해 나갈 수 있다는 방침입니다. <br><br>한동훈 대표는 이 안에 찬성하며 오늘 의총에서 최대한 퇴진 로드맵을 결론 내보겠다는 입장인데요.<br><br>의원들 뜻을 모으게 되면 한 대표는 용산 대통령실 찾아 윤 대통령에게 제안하고 수용을 압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재평 박연수 <br>영상편집 : 이혜리<br /><br /><br />조민기 기자 minki@ichannela.com<br />홍지은 기자 rediu@ichannela.com